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5)
달리면서 전기차 충전하는 '무선 충전도로' 미국 미시간 주 디트로이트에 달리면서 전기차가 충전되는 무선 충전 도로가 개통됐어요. 이스라엘 회사 '일렉트론(Electron)'의 작품인데요. 충전소에 들리지 않아도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고 해요. 현재 도로의 길이는 400m 정도이고, 올해 1.6km까지 확장할 예정이에요. 충전 도로는 스마트폰 무선 충전 패드와 같은 원리인데요. 도로 안에 있는 구리 코일이 전기 에너지를 보내면, 이 위를 달리는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어요. 이때 전기를 전달받는 전용 장치를 전기차에 장착해야 된다고 하고, 이 장치가 사람과 동물에게 미치는 영향은 없어서 안전하다고 해요. 미국 외에도 중국, 프랑스, 스웨덴 등 8개국에서 이 도로를 까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에요. 전기차 대중화의 핵심은 충전이기 때문에, 빠른 충전과..
사진 속 사람에 생명을 불어넣는 알리바바 AI 알리바바가 사진을 움직이는 영상으로 변환하는 AI '애니메이트 애니원(Animate Anyone)을 공개했어요. 모델 사진과 원하는 동작이 담긴 영상과 사람 사진을 입력하면 사진이 살아서 움직이는데요. 다른 딥페이크 영상 제작 모델과 비교했을 때 크게 발전한 수준이라고 해요. 움직이는 동작에 맞춰서 소매나 신체의 옆부분 등 사진에선 보이지 않던 부분을 자연스럽게 생성해야 하는데 기존 모델들은 갑자기 전혀 관련없는 이미지가 나타나는 '환각' 문제를 고치기 어려웠어요. 알리바바의 모델은 아직 초기 단계임에도 환각 문제나 이미지의 뭉개짐 현상없이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어요. 이러한 기술은 앞으로 쇼핑몰 이미지뿐 아니라, 게임 개발이나, 영화 제작에도 활용되어서 시간과 비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여..
'나는 언제 죽을까' 78% 정확도로 예측한 AI 덴마크 공과대(DTU) 연구팀이 자체 개발한 AI '라이프투벡(life2vec)'을 통해 사람의 수명을 78% 정확도로 맞췄다고 해요. 심지어 30~55세 비교적 젋은 사람을 대상으로요. 거의 운명을 알고 있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닌데요. 연구진은 챗GPT 기반 거대언어모델(LLM)을 활용해서 수십년 동안 덴마크인 600만 명의 개인정보를 학습시켰어요. 여기에는 나이, 거주지, 교육수준, 소득수준, 직업, 진료기록 등 다양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고요. 학습시킨 AI에게 '2020년까지 누가 사망할까'를 물었더니 78% 정확도로 사망자를 예측했다고 해요. 단, 갑작스러운 사고나 심장마비 등 예측이 불가능한 경우는 AI도 예측할 수 없었어요. 그래도 기존 보험회사의 수명 예측 모델보다 11% 더 정확하다고 하..
멀티버스의 전기를 끌어서 충전하는 '양자 배터리' 양자 배터리는 양자역학의 법칙을 적용해서 빠르게 충전하는 배터리 개념이에요.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이지만 에너지 충전에 혁명을 불러일으킬 기술로 관심을 받고 있어요. 양자 배터리를 통해 30분 걸리던 전기차 충전 시간을 몇 초로 줄일 수 있기 때문이죠. 최근 도쿄대-베이징컴퓨터과학연구센터 연구팀이 이러한 양자 배터리의 성능을 확인했어요. 어떤 원리이길래 이것이 가능한 걸까요? 양자역학의 원리를 잘 설명하는 슈뢰딩거의 고양이라는 사고 실험처럼, 독극물이 든 상자 안에 고양이는 우리가 눈으로 관측하기 전까지 죽어있는 상태와 살아있는 상태 두 가지 가능성의 세계가 동시에 존재해요. 이것을 '양자 중첩'이라고 표현하죠. 양자 배터리는 바로 이러한 '양자 중첩' 원리를 주로 이용해요. 일반적인 배터리는 충전기를 ..
다이어트를 돕는 진동 캡슐 '바이브스' MIT와 하버드 의대 연구진이 다이어트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캡슐을 개발했어요. 'VIBES(바이브스)'라는 이름처럼 위 속에서 진동을 하는 전자 캡슐인데요. 음식을 먹지 않아도 포만감을 느끼게 해서 식사량을 줄일 수 있다고 해요. 캡슐은 알약과 같은 크기로 내부 진동 모터가 젤라틴 막으로 덮여 있어요. 위액이 이 막을 녹이면 모터의 스위치가 켜져서 약 30분간 진동이 작동한다고 해요. 음식을 먹어서 위가 늘어나면 '기계수용기'라는 세포가 뇌에 "위가 꽉 찼다"라는 신호를 보내게 되는데요. 신호를 전달받은 뇌는 '인슐린', '펩타이드' 등 여러 호르몬을 분비시켜서 '배부르다'는 감정을 느끼게 하는 동시에, '배고프다'는 감정을 유발하는 호르몬 '그렐린'의 농도를 낮춰서 음식을 그만 먹게 만들어요. 그러니..